개화 이후 서양의 개명진보와 대비되는 부정적 일상 개념으로 퇴행해 온 보수는 1980년대 이후 민주화와 탈냉전의 변화 속에서 진보의 정치적 대척 개념이 되었다. 그런데 민주주의를 움직이는 한 축으로서 보수라는 개념이 가져야 할 정치적 설득력은 개화기의 수구에 대한 부정적 기억과 보수 단색의 한국현대사에 대한 회한의 기억 때문에 훼손되었다. 21세기 초 한국의 이념 지형은 좌와 우, 남과 북, 보수와 진보의 대결이 삼중으로 공고하게 겹쳐진 복합 지형이다. 그 밑바닥에는 60년 넘게 켜켜이 쌓여 온 상호 불신과 애증의 상흔이 가라앉아 있다. 민주화 이후 보수(와 진보)의 의미를 뿌리째 비틀어 온 것은 이 상흔에 대한 집단적 기억이다. 인간과 세상에 대한 철학과 정책을 기준으로 설정된 것이 서구의 보수 개념이라면 한국의 보수 개념은 망국, 분단과 전쟁, 독재와 저항의 기억을 기준으로 설정되어 왔다. 미완의 근대가 생산한 이 기억의 주술에서 어떻게 풀려날지 그 해답은 현실에서 찾아야 한다.‘보수’가‘진보’와 함께 한국 정치의 궤적을 어떻게 그려 나갈지는 이 방법을 누가 언제 어떻게 찾느냐에 달려 있다.
- 목차 -
한국개념사총서 발간사
책머리에ㆍ13
Part 1 보수의 기원과 전개
1. 좌와 우, 진보와 보수ㆍ19
2. 보수의 개념과 이념ㆍ26
어휘, 표상, 개념ㆍ26|일상의 보수, 정치의 보수ㆍ31
3. 보수의 표준:서유럽의 보수주의ㆍ37
세계관과 역사관ㆍ37|보수의 사상과 보수주의의 정책ㆍ44
4. 동아시아의 보수와 수구ㆍ78
번역어 保守와 守舊의 탄생ㆍ79|동아시아 삼국의 보수와 수구ㆍ95
Part 2 근대 한국의 보수 개념
5. 개항 이전ㆍ109
보수의 전통적 쓰임새ㆍ109|수구의 전통적 쓰임새ㆍ112
6. 개화기:1880∼1910년ㆍ116
동사에서 관형어로ㆍ117|보수와 수구를 차별하다ㆍ121|급진개화파ㆍ126|온건개혁파ㆍ128|일상의 보수주의ㆍ136|또 하나의 수구:한말 유학의 세계관ㆍ140
7. 일본 강점기:1910∼1945년ㆍ147
보수, 동사로 계속 쓰다ㆍ149|일상에 갇힌 보수와 수구ㆍ151|보수와 수구의 혼용ㆍ155|번역과 보수 개념의 확장ㆍ165
Part 3 현대 한국의 보수 개념
8. 해방 직후:1945∼1948년ㆍ171
반동과 보수, 우익ㆍ173|반동과 친일, 파쇼ㆍ181|반동의 개념사ㆍ190
9. 반공ㆍ보수의 시대:1948∼1986년ㆍ201
미완의 보수:1950년대의 정치적 보수 개념ㆍ205|진보 부재시대의 보수 개념:5ㆍ16군사정변 이후ㆍ209|일상에 갇힌 보수 개념:1960년대와 1970년대ㆍ216
10. 민주화ㆍ탈냉전의 시대:1987년 이후ㆍ228
일상의 보수ㆍ230|민주 대 독재의 시대ㆍ237|민주, 보수와 진보로 갈라서다ㆍ244|보수 대 진보의 시대:혁신이 진보로 바뀌다ㆍ256|보수 개념의 복권:수구와의 결별ㆍ272|탈냉전시대의 보수ㆍ수구 개념ㆍ287
맺음말ㆍ308
참고문헌ㆍ316
찾아보기ㆍ328